닫기

-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닫기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학술지학회지검색

학회지검색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61 (2021)
pp.59~94

- 정책소통 채널의 다변화와 신뢰 특성 연구 -

조은희

(목원대학교 광고홍보커뮤니케이션학부 조교수)

과거에는 TV, 신문 등 언론이 정책소통의 주된 채널이었다면 이제는 정부 가 운영하는 SNS나 시민의 댓글, SNS 등도 정책소통 창구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변화된 정책 정보 창구의 변화와 그 의미를 채널에 대한 신뢰와 정책소통 만족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사회과학조사 (KAMOS)가 2017년 8월에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 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론사와 정부 기관 채널 평가에 비해 인터넷 뉴 스 댓글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부 기관의 전용 SNS 채널 신뢰가 높을수록, 댓글에 신뢰가 높을수록 정책소통 만족이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셋째, 정책소통 채널 신뢰의 유형이 세 가지로 나타났다(모두 부정 집단, 모두 긍정 집단, 댓글 긍정 집단). 넷째, 정책소통 만족은 채널 신뢰 유 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 속에서 정책 소통 채널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이 변화하고 있으며, 정책 당국 은 다양화된 정책소통 채널과 그 특성을 고려해 소통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 준다.

A Study on the Diversification and Trust Characteristics of Policy Communication Channel

Eun Hee Cho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nge in policy information delivery and its implications on channel trust and policy communication satisfa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Korea Academic Multimode Open Survey(KAMOS) for Social Sciences data collected in August 2017.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y were more positive about the online news replay than information from news media and policy authoritie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government social media information and Policy Communication Satisfaction was positively significant. Trust in News reply and Policy Communication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ird, the types of policy PR channel trust were shown as follows: negative group, positive group, and positive group with news reply only. Fourth, the level of Policy Communication Satisfaction was analyze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policy PR channel trust.

다운로드 (Download) 리스트(List)